2025 실수령액 계산기

2025년 7월 최신 4대보험·세금 기준, 월급/연봉 실수령액을 실시간으로 계산합니다.

비과세 0원, 1인 가구 기준. 4대보험, 근로소득세, 지방소득세 모두 반영.

자세한 정보는 국세청, 국민연금공단, 건강보험공단, 고용노동부,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 공식 자료를 참고하세요.

만원
(** 중위소득 약 93.7%)
200만원
국민연금
90,000 원
건강보험
70,900 원
요양보험
9,082 원
고용보험
18,000 원
근로소득세
19,520 원
지방소득세
1,952 원
실수령액: 약 179만원

2025년 최저임금·주휴수당 정보

구분 2025년 기준 비고
최저임금(시급) 9,860원 2025년 7월 기준
최저임금(월 환산) 2,060,740원 209시간 기준
주휴수당(1일) 78,880원 1일 8시간, 5일 근무 기준
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 15시간 이상 근무 법정 기준
* 2025년 7월 기준, 고용노동부·최저임금위원회 공식 고시 반영
*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1주일에 1일치 임금(8시간분) 추가 지급

2025년 4대보험·세금 요율 한눈에

구분 요율(근로자 부담) 비고
국민연금 4.5% 2025년 기준
건강보험 3.545% 2025년 기준
요양보험 12.81% 건강보험료의
고용보험 0.9% 2025년 기준
* 2025년 7월 기준, 공식 고시 요율 반영

실수령액·최저임금·주휴수당 FAQ

  • Q. 2025년 실수령액 계산기는 어떻게 사용하나요?
    A. 월급 또는 연봉을 입력하면 4대보험, 근로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 공제 후 실수령액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• Q. 2025년 4대보험 요율은 어떻게 되나요?
    A. 국민연금 4.5%, 건강보험 3.545%, 요양보험 12.81%(건강보험료의), 고용보험 0.9%가 적용됩니다.
  • Q. 2025년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?
    A.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9,860원, 월 환산 2,060,740원(209시간 기준)입니다.
  • Q.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    A.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1주일에 1일치 임금(8시간분)을 추가로 지급받습니다. 2025년 기준 1일 78,880원(9,860원×8시간)입니다.
  • Q. 비과세 소득이 있으면 어떻게 입력하나요?
    A. 식대 등 비과세 금액만큼 입력값에서 빼고 계산하면 됩니다. 예: 월급 300만원, 식대 10만원 비과세 → 290만원 입력.
  • Q. 실수령액 계산 결과가 실제와 다를 수 있나요?
    A. 본 계산기는 1인 가구, 비과세 0원, 2025년 7월 기준 공식 요율을 반영합니다. 가족수, 비과세, 추가공제 등 상황에 따라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.
* 2025년 7월 기준, 최신 4대보험·세금·최저임금·주휴수당 기준을 반영합니다.
** 2025년 1인가구 중위소득 100%는 월 2,133,560원(세전)입니다.
*** 본인의 비과세(식대 등)를 파악하여 입력값에서 제외하고 계산하세요.
**** 실제 실수령액은 가족수, 비과세, 추가공제 등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*****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, 국민연금공단, 건강보험공단, 고용노동부, 최저임금위원회 공식 자료를 참고하세요.